[chapter 10]
[chapter 11]
News of the unprecedented success of the Tokyo mission buoyed the spirits of Hap Arnold, […]
- buoy: 기분을 좋게 하다
[a letter from Hap to Curtis] “. . . A study of the Tokyo attack of March 10 and knowledge of the fact that by July 1 you will have nearly a thousand B-29s under your control, leads one to conclusions which are impressive even to old hands at bombardment operations. Under reasonably favorable conditions you should then have the ability to destroy whole industrial cities should that be required.”(166)
- 3월 10일, 도쿄에서 비행기가 돌아온 뒤 아침 날의 저녁에, Nagoya에 대한 공격 명령 내림. “다음 열흘 간 도쿄의 주요 산업 도시를 무너뜨려야 함”
웃긴건ㅋㅋㅋㅋ But his order for a Nagoya raid that very night was too unreasonable, even by LeMay standards.
“My idea of what was humanly possible,” he admitted, “sometimes did not coincide with the opinion of others.” On this occasion, he surprisingly bowed to the opinions of others. But not for long. He postponed the Nagoya raid for only twenty-four hours.
나고야 임무에는 gunners도 다시 탑승함. 도쿄 공습 이후 일본이 방어력을 올렸을 수도 있고, 남겨진 gunners의 불만도 컸기 때문.
나고야에서 소이탄을 (도쿄보다) 더 많이 투하했으나 불길을 한군데로 모이지 않아 도쿄보다 큰 피해를 내지는 못했음.
도쿄(3월 9일) à 나고야(3월 11일) à 오사카(3월 13일) à 고베(3월 16일) à 나고야(3월 19일: 이때는 레이더 통해, 구름 사이로 폭격)
10흘만에 “they had obliterated thirty-three square miles of Japan’s four most important industrial centers.”
그리고 중단되었는데 그 이유는 다름아닌 폭탄이 부족함. 그리고 르메이 눈에 그건 해군 탓ㅋㅋㅋㅋㅋㅋㅋㅋ
Before launching his offensive, he had told Admiral Nimitz’s staff what his incendiary needs would be, but his figures so outlandish they had quite understandably refused to believe him.
- outlandish: 못마땅하게 이상한
- 르메이 계획: B-29를 한 달에 120시간 비행시킬거다.
- 해군 장성들은admirals 어이없어함scoffed. “How’re you going to fly a hundred and twenty hours a month out here in the boondocks,” one of them asked, “when you only flew thirty hours a month in England?”
- 르메이 주장: “We have a new maintenance system,” LeMay had argued. “Better than we had in England. We feel we can do it and we’re going to do it. If we run out of supplies, you explain it to the Joint Chiefs.”
- 그러나 실제로 르메이의 사용량이 엄청났고 이에 해군은 마리야나로의 물품 조달에 박차를 가한다. 아무튼 르메이가 원하는 만큼 소이탄이 올때까지 기다려야 했고 그 동안 르메이는 … 당연히 쉬지 않는다. 다시 주간 정밀폭격을 했다. (168)
Ever since the B-29s began arriving in the Marianas, Admiral Nimitz had been trying to get al least some of them assigned to minelaying in those Japanese waters which were obvious shipping bottlenecks.
- minelaying: 기뢰 부설.
- bottlenecks: 병목 지점(목이 좁은 병처럼 좁아지는 곳). 물류나, 교통, 항로에서 좁아져서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지점이다.
Mine laying, Arnold insisted, was the Navy’s job. Nimitz very reasonably pointed out that the Navy couldn’t do the job because the Air Force was hoarding all the B-29s, and no other aircraft was carrying large mines from the Marianas to the western shores of Japan.
- hoard: (몰래) 비축하다, 쌓아두다. 공군이B-29를 독점적으로 차지하고 있으니 해군은 쓸 수 없다. 다른 기체로는 일본의 서해안까지 기뢰를 싣고 날아갈 수가 없다.
Even after the 313th had completed its job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mission, one of its groups, the 505th, continued resowing the waters which Japanese mine sweepers had managed to clear.
- resow the water: ‘sow’는 씨를 뿌린다는 뜻인데 여기서는 ‘re’가 붙어 다시 뿌리는 것. 맥락상 기뢰를 뿌리는 것을 의미함. 일본측 소해정(mine sweeper, 기뢰를 탐지하고 제거하는 전용 선박)이 깨끗하게 해놓은 바다에 다시 기뢰를 뿌리는 것이다.
As Air Force historians W. E. Craven and J. L. Cate have pointed out, this would, in effect, give Nimitz control of the B-29 effort until May 11.
- B-29 effort에서 effort는 군사적, 조직적인 맥락에서 ‘노력,수고’라는 뜻으로, ‘B-29를 활용한 작전 활동 전체, 그 작전 노력’을 의미한다. 작전 전반에 대한 통제권을 주는 것이었다, 는 식으로 해석하면 된다.
In the beginning, LeMay did not resist or resent this temporary loss of control. “An amphibious operation is the toughest military chore you can dream up,” he later observed. “And it’s up to everybody to turn to and get the doughboys ashore. So we had a string of good weather and in seven days we had every airfield plastered.”
- doughboy: 본래 1차 세계대전에서 유럽에 파견된 미국 보병을 의미했는데, 육군 보병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 plaster: 일반적으로 석고를 바른다는 뜻이지만,(‘덮어 씌우다,’ ‘발라놓다’) 여기서는 구어로 쓰였으며, 폭탄이나 포탄을 퍼부어 초토화하다, 빈틈없이 뒤덮다는 의미이다. ‘모든 비행장을 철저히 폭격했다, 폭탄으로 뒤덮어 버렸다.’
But after all these fields had been destroyed to LaMay’s satisfaction, and the Navy insisted he keep bombing them anyway, his recurring annoyance at his “webfooted” friends came to the fore once more and he visited Admiral Nimitz to protest against the continuation of such a superfluous effort. (170)
- 르메이가 만족할 만큼 포탄 쏟아 부었는데도 해군이 더 해달라고 하니까, 그 거미줄에 빠진 친구들한테 짜증이 나서, 르메이는 니미츠한테 가서 이렇게 쓸데없이 많은 노력 계속 하는 문제에 대해 항의함.
- webfooted: 물에 젖은
- fore: 앞, 전면.
- come to the fore: 앞에 드러나다 – 숨어 있던 감정이나 문제가 본격적으로 드러나다
5월 11일이 되어서야 니미츠는 자진해서 B-29에 대한 권한 내려놓았으며 B-29에게 감사를 표시했다. (171)
날씨가 좋고 타깃을 잘 볼 수 있겠다 싶으면 주간정밀폭격, 날씨가 좋지 않으면 야간-레이더-지역폭격
해군 지원 공격을 하고 있을 때에도 기회가 있으면 주간정밀폭격.
4월 13일, 도쿄에 대한 또다른 firebombing, 327대가 2,139톤.
On June 15, Hap Arnold himself watched the B-29s take off from Guam on their way to Osaka. Arnold had arrived in Saipan on a Far East tour, one purpose of which was convalescence after his latest heart attack.
- convalescence: 요양 기간, 회복 기간
Arnold later wrote in the narrative of his tour, “So far on my trip across the Pacific, no one had hazarded the time for the defeat of Japan, except LeMay. Neither Admiral Nimitz nor General Richardson [in Hawaii], nor their staffs talked about when the war would be over.” (174)
- no one hazarded the time: ‘hazard’는 동사로, ‘틀릴 셈 치고 모험 삼아 제안/추측하다’는 의미가 있다.
이 시기 미국의 대통령은 트루먼인 상태였다. 트루먼이 일본 본토 침공 공격에 대해 알기 위해 주요 장군들, 참모들 초대했을 때 아놀드는 르메이를 거기에 보내기로 한다. 그래서 르메이와 참모 몇이 괌에서 하와이까지 3,780마일의 논스탑 비행을 하고, 이후 하와이에서 워싱턴까지 4,640 마일(20시간 15분)의 논스탑 비행을 하는데, 이건 세계기록갱신(논스탑분야..) 이었다.
워싱턴에 도착한 르메이는 헬렌에게 전화했고, 헬렌은 남편을 보러 기차 타고 곧장 옴(전화 받은 다음날…!)
'Rea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메이, 핵폭탄, 일본의 항복 선언, 종전 (3) | 2025.08.27 |
---|---|
르메이, 해군과 도쿄 공격에 협력, B-29 공군의 위기 (1) | 2025.08.22 |
LeMay: 제트 기류 및 날씨 문제를 겪음 (3) | 2025.08.22 |
르메이, 괌으로 이동, 한셀을 대체함. (0) | 2025.08.22 |
중국에서의 르메이 (1) | 202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