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르메이, 해군과 도쿄 공격에 협력, B-29 공군의 위기

by 50cm 2025. 8. 22.
반응형

[LeMay는 쓸모 있어 보이는 의견은 시도해보이는 것을 좋아함. 그게 누가 제안했든, 무엇이든.]

 

그 일화:

One day a major in the aircraft maintenance section of the Twentieth Air Force went to headquarters to tell a superior officer he had figured out a better procedure of some kind.

“I was standing with my back to the door,” ha later recalled, “all wound up and going strong. I noticed that the man I was talking to sort of stiffened. I looked over my shoulder and there was LeMay. All he said was, ‘Sounds like the major’s got a good idea. Put it into practice.’” (139)

 

 


 

[르메이의 지역폭격에 관해]

 

In the years to come he would be criticized for using such a strategy on the grounds that it was inhumane. No doubt it was. All was is inhumane, despite its apparent popularity among humans. Fire is no fun, but neither are high explosives or shrapnel, or bullets. (139)

- high explosives: 고폭탄? (소이탄과의 차이는?) 작은 충격에도 쉽게 폭발하고, 폭발 속도가 매우 빠른 고성능 화약(TNT, RDX )을 사용. 고폭탄폭발력파괴력에 중점이나 소이탄불을 내는 것이 목적이다.

- shrapnel: Shrapnel 장군(영국)에서 고안한 포탄의 유래로, 산탄포탄, 파편탄을 의미. 폭발 시 수많은 금속 파편을 사방으로 흩뿌려 인명 살상 목적이다.

 

Marine Gen. Holland M. “Holwin’ Mad” Smith was predicting it could not be captured or less than fifteen thousand casualties. But that wasn’t the only reason the Navy lacked enthusiasm for the enterprise. As it happened, the Navy, at that moment, had another, more pleasing project in mind. (141)

- ‘울부짖는 미치광이’ Smith의 예측: 그것(이오지마섬)은 점령 안 될거다, 적어도 15,000명이 사상자는 나올 거다.

 

7개월간, B-29는 일본 본토를 대상으로 한 공격을 하고 있었고 효과적이진 않았다. 그래도 아무튼 일본 본토로 전쟁을 끌고가서 폭격을 하고 있었다. 공군은, 공군만이 적이 살고 있는 곳을 직접 타격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싶어했다.

 

They[B-29s’s missions] weren’t always very effective, but they did bring the war home to Japan in the unpleasant form of falling bombs. And the Air Force, never bashful about blowing its own horn, had made sure everyone knew that only the Air Force was hitting the enemy directly, where he lived.

- blow one’s own horn: 자화자찬하다

- bashful 부끄러워하는

 


 

And the Navy knew, as well as the Air Force, the favorable headlines in the papers were like money in the congressional bank when the time came for military budget allocations.

 

 

지금까지 전공을 무수히 세워왔고 이제 그걸 드러내고 싶었던, 뭔가 짠 하고 보여주고 싶었던 해군은, Task Force 58이라고 불리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음. 이오지마 침략보다 이게 더 그들의 마음 속에 우선순위로 자리잡고 있었음. 그런데 이때 문제가 있었는데,

 

To this end, the Navy was now planning a series of strikes against Tokyo by the planes of a massive fleet called Task Force 58, which comprised sixteen carriers, eight battleships, seventeen cruisers, seventy-five destroyers and support ships in the hundreds. The only catch in the Navy plane was the well-known fact that land-based planes were more formidable and usually larger than carrier-based planes. This meant there was a significant danger of land-based Japanese planes sinking task-force carriers or battleships when they came close enough to Tokyo Bay.

Someone in the Navy offered a brilliant idea to prevent such a disaster. Why not get the B-29s to support the task-force strike against Tokyo by bombing Japanese air bases in the Tokyo area. That would keep Japanese land-based planes from attacking the task force.

With all these considerations in mind, Adm Raymond A. Spruance, commander of the naval units assigned to capture Iwo Jima, invited LeMay to a conference on his flagship at the island of Ulithi in the Carolines.

- 해군이 기획한, “Task Force 58”: 16 carriers, 8대의 전함, 17대의 cruisers, 75명의 destroyer, 수백의 보조함

- carrieraircraft carrier의 줄임말로, 항공모함이다.

- battleship 전함(거대한 화력, 해상포격이 주요 임무), cruiser 순양함(중간급으로 다재다능함. 대공, 정찰, 호위), destroyer 구축함(작고 빠른 경호, 방어 전문, 대잠, 대공, 어뢰전)

- the only catch에서 catch숨겨진 문제점,’ ‘단서,’ ‘허점이라는 의미.

e.g. “Sounds good, but what’s the catch?” 식으로 쓰인다. (좋은 것 같은데, 문제가 뭐야?)

- 땅에서 출발하는 비행기들이 더 위협적이고, 보통 사이즈도 더 크다. (항공모함에서 출격하는 비행기보다) 그리고 그렇게 되면, 땅에서 출격하는 일본군의 비행기들로 인해 task-forcecarrier와 전함이 침몰할 수도 있다(도쿄 만 부근에서). 그래서 B-29가 일본의 공군 기지를 폭격해서, task-force 공격을 보조하는게 어떻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그렇게 하면 일본군의 비행기가 task force 공격하는 걸 막을 수 있을 것.

- 이런 걸 고려하고 SpruanceLeMay를 불렀다.

- flagship은 사령관의 깃발이 걸린 배로, 함대 지휘관이 탄 배를 뜻한다. (요즘은 회사의 대표 제품을 뜻하는 용어지만.)

 

르메이를 초대한 스프루언스의 첫번째 질문.

1.     이오지마 필요해? – 르메이: 당연하지 (landing field로서, 그리고 전투기들이 호위할 때의 base로서.)

2.     다음 질문: B-29를 보내서, 이오지마 점령 도와줄 수 있어? -르메이: B-29는 기술적, 전술적(tactical) 무기가 아니라 전략 무기여서 좀 대답하기 난감. 그런데 B-29를 위해 이오지마를 가지려고 하는건데, 안 도와주기도 뭣함. 그래서 정말 필요하다면, 침략을 직접 지원할 때 임무를 하겠다고 함. (하지만 우리가 너희를 제일 잘 도와줄 수 있는 건, 본국에 있는 일본의 공장을 때려부수는 거야! 라며.)

 

Surprisingly, Spruance and his staff failed to argue very strongly against this somewhat questionable reasoning, and LeMay soon found out why. Their most pressing priority at the moment was not the Iwo invasion but the attack by Task Force 58 against Tokyo.

- Spruance와 참모들이 르메이의, 뭔가 의심스러운 논증에 강하게 반대 주장을 안했고 르메이는 그들의 마음이 이오지마보다는 도쿄 공격에 있다는 걸 알게 되었음. 그들이 원하는 건, 일본의 airfields(비행장, 이착륙장) (도쿄에 있는) 르메이가 공격해 주는 거였다. 언제? Task-force foray.

 

르메이는, 비행장은 전술적 타깃이지 전략목표가 아니므로, B-29가 공격할만한 대상은 아니라고 주장함.

 

 

 

And it made no sense for B-29s to put a lot of holes in runways—hole that would be easy to patch—just to prevent a land-based attack on a naval task force.

- B-29로서는, 활주로에서 많은 구멍을 내는 것(즉 폭격으로 공격 만드는 것), 그것도 수리(다시 때우기)하기 쉬운 그런 구멍을 내는 것은, 말이 되지 않았다. 단지 해군 함대에 가해질 육상 공격을 막아주기 위해서 그런 걸 하는 것은.

 

He offered instead to coordinate his missions against Japan with the Task Force 58 attacks. But he insisted he must strike only significant targets.

- 르메이의 제안: task force 공격은 돕겠으나 오직 중요한 전략적 대상만 폭격하겠다.

 

Apparently embarrassed at having to seek the help of the very source from which they were trying to siphon off publicity, the naval officers yielded. (144)

- siphon off: 본래 ‘siphon’은 사이펀(관에 담긴 액체를 빨아올려 다른 쪽으로 빼내는 도구/행위)을 뜻하며, 비유적으로 빼돌리다, 흡수하다, 다른 곳으로 돌리다, 착취하다정도의 의미이다.

- 해군은 공군에게서 명성, 주목(publicity)를 빼앗아 오려고 하는 건데, 공군의 도움을 받으려니 난처했다. 그리고 결국 양보했다.

 

르메이는 이오지마 공격 때 폭격을 위해 B-29를 보냈고, Navy의 도쿄 공격에 맞서서 B-29 임무를 맞추어 진행했다. 여기서 2개의 아이러니한 결과가 발생함.

- 해군이 513톤의 폭격을 도쿄에 가했고 415대의 비행기 파괴했다. (미군 측 피해는 102)

- 그때 B-29, 1,220톤의 폭격. 46대 비행기 격추. (미군 측 5대 손실)

- 해병대의 “Howling’ Mad” Smith (당시에는 공개적으로 말을 아꼈으나) “Iwo Jima Cost Too Much” 입장 밝힘. (이오지마 공격 전에 열흘 간 예비폭격해야 한다고 했는데, 사흘만 했던 걸 문제삼음.) 이오지마 폭격으로 가야 할 것들이 막판에 바뀌어서 도쿄 공격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It should not be inferred, however, that during those few days the B-29s were accomplishing wonders over the Tokyo area while the Navy was simply playing around, making headlines, as Hap Arnold was quick to notice, and it did, perhaps, shirk its duties at Iwo, as Howling’ Mad Smith was quick to notice.

- 이 며칠간 B-29가 도쿄 지역에 놀라운 일을 행했다, 식으로 결론 내리는 것은 불가: 해군이 이오지마 임무는 피하면서 기사 놀음 하는 동안 B-29가 놀라운 일을 했다! 식으로. (이건 Hap도 알고, 미치광이 Smith도 알았음)

- shirk: 회피하다, 태만히 하다

 

But on the 17th, its carrier planes, at low altitude, created havoc at the aircraft plant in Musashino. Meanwhile, the B-29s were still trying to bomb with precision at high altitudes, and while they were dropping two-and-a-half times as many tons of bombs as the carrier planes, they were still wasting so much of their potential that LeMay was becoming more frustrated day by day. (144)

227: 항공모함이 저고도로 날아서 Musashino의 비행기 공장에 피해 입혔는데, 그동안 B-29는 여전히 고고도 정밀 폭격을 고수하면서 (항모 비행기보다) 2.5배 많은 폭격을 했을 뿐이었고 이는 B-29의 잠재력 너무 낭비하는 행위였다.

 

On February 16, after reading in the newspapers about the Navy’s first strike against Tokyo, Arnold wrote Giles an “Eyes Only” letter just to let him know he wasn’t any more excited about LeMay than he had been about Hansell:

- “Eyes Only” letter: 군사·외교에서 쓰는 보안 등급 표시로 오직 지정된 사람만 열람 가능하다. 다른 참모나 비서에게 전달·공유되면 안 되고, 수신자 본인의 눈으로만 읽어야 한다.

 

반응형